네트워크

DNS, URI, URL

Twisted 2025. 2. 19. 01:49

DNS(Domain Name System)

DNS는 도메인 이름과 IP주소를 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컴퓨터가 읽을수 있는 IP주소로 변환하는 것이다.

 

DNS의 등장 배경

1. 컴퓨터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IP주소가 필요하다.

  • IP주소는 사이트마다 특징도 없고 길어서 외우기가 힘들다.
  • IP주소가 변경된다면 새로운 IP에 대하여 접근할 수가 없다.

2. IP는 변경되는 주소이다.

  • 일반적으로 가정집에서 사용되는 IP는 유동 IP이다. (변경 된다는 소리)

DNS의 동작 순서

1. 원하는 이름의 도메인을 구매 후, DNS서버에 등록한다.

 

2. 도메인 명을 입력하면 DNS서버는 IP주소를 반환한다.

 

3. 만약 IP가 변경되면 DNS서버에 등록된 IP주소만 바뀌면 된다.

 

4. 우리는 IP주소의 형태가 아닌 https://www.naver.com/ 처럼 도메인 이름 형태로 웹에 접속을 하게 된다.

 

-> 일반적으로 URL이라 알고 있는것이 바로 DNS를 활용한 예시가 되겠다.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는 **인터넷 자원(Resource)을 나타내는 고유 식별자(Identifier)**를 뜻한다. 쉽게 말하면 웹에서 특정 자원을 가리키는 주소 역할을 한다.

 

URI의 특징

  • URI는 특정 리소스를 식별하는 역할을 하며, URL과 URN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 모든 URL은 URI이지만, 모든 URI가 URL은 아니다.

URI의 구성 요소

URI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scheme:[//authority]path[?query][#fragment]

다음 URI를 예시로 보자.

https://example.com:8080/path/to/resource?name=value#section
  • scheme: 프로토콜 (예: http, https, ftp)
  • authority: 도메인과 포트 번호 (예: example.com:8080)
  • path: 리소스의 경로 (/path/to/resource)
  • query: 추가적인 요청 정보 (name=value)
  • fragment: 문서 내 특정 위치 (#section)

 

URL(Uniform Resource Locator)

URL은 리소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URI의 한 형태이다. 쉽게 말해, 웹에서 특정 리소스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주소이다.

URL의 예시

  • 웹사이트 주소: https://www.google.com/
  • API 엔드포인트: https://api.example.com/users?name=John
  • 파일 경로: file:///C:/Users/example.txt

URI : 자원을 식별하는 모든 문자열

URL : 자원위 위치를 포함한 URI

URN : 자원의 이름만 포함한 URI

 

--> 모든 URL은 URI이지만, 모든 URI가 URL은 아니다.

 

 

내용 마무리 정리

  •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으로, 우리가 쉽게 웹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다.
  • URI는 웹에서 특정 리소스를 식별하는 주소이며, URL과 URN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 URL은 리소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URI의 한 종류로, 우리가 흔히 웹사이트 주소라고 부르는 것과 같다.

웹을 호출하는 흐름

1. 사용자가 https://www.naver.com/ 을 입력한다 (URL)

2. DNS 서버가 www.naver.com에 에 대한 IP주소를 반환한다. (DNS)

3. 웹 브라우저가 해당 IP주소로 요청을 보내고 원하는 웹페이지를 가져온다.